나주역사

일제 강점기 역사기록 자세히 보기

1914년 일제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였다. 당시 남평군 일원과 함평군에 넘겨주었던 적량, 여황, 장본의 3개면을 다시 편입되어 총 42개면이 되었다가 각 면 폐합에 따라 19개면, 222개 동리로 개편되었다. 1917년에는 양지면이 영산면으로 개칭되고, 1929년 나주면과 나신면을 합하여 나주면으로 칭하였으며 1931년 나주면은 나주읍으로, 1937년 영산면이 영산포읍으로 승격하였다. 영산포는 현재 전라남도자동차운전면허시험장이 들어선 내영산 일대에 주로 사람들이 살았으나 일본인들이 들어오면서 강 건너 현재의 이창동과 영산동 등이 개발되어 오늘에 이른다.

1919년 기미독립만세운동때 나주는 별다른 소요가 없었다. 기껏해야 나주읍내에서 수백명이 모여 만세시위를 벌였다가 자진해산하는 정도로 규모도 작고 소극적이었다. 이는 구한말의 의병투쟁때 너무나 큰 피해을 입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1운동 이후 나주지방의 민족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이어진다. 청년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신간회, 학생운동 등이 조직되고 나름의 운동을 펼쳐나간다. 1920년 나주청년수양회로부터 시작하여 1922년 나주청년회관을 준공하고 나주청년회로 이름을 바꾸어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나주의 노동 농민운동은 주로 경성에서 활동하던 사회운동가 이항발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였는데, 궁삼면 토지회수토쟁 지원, 소작쟁의 지원, 노동자들의 파업 지원 등의 활동을 펼쳤다. 게다가 1927년 창립된 신간회는 나주지역의 뜻있는 인사들을 모아 나주협동상회운동, 남평유림각 사건, 학생독립만세운동 등에 큰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