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되찾은 나주는 곧바로 20일에 일본인 나주경찰서장으로부터 치안권을 인계받아 박공근을 치안대장으로 하는 치안대를 구성하고 곧 이어 김창용을 위원장으로 박준삼을 부위원장으로 하는 건국준비위원회 나주지부를 발족시켜 해방공간에서 나주를 우리 나주인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운동을 시작하였다. 중앙의 건준이 인민공화국으로 바뀐 뒤 지방은 인민위원회로 바뀌게 되는데, 나주는 건준이 그대로 인민위원회로 이행된다.
10월 하순 미군이 전라남도에 들어오면서 도 인민위원회의 해산을 명하게 되는데, 나주의 경우 미군정은 인민위원회가 추천한 김창용을 나주군수로, 박형배를 경찰서장으로 그대로 받아들였다.
1946년 들어서면서 미군정은 이미 그들이 인정했던 토착적인 민족운동세력을 좌익으로 보고 이들을 모두 연행하여 축출하는 대신 일제때의 관리들을 다시 등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주지역의 인민위원회 세력은 그 세력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일제보다 더 가혹하게 실행하는 공출 등으로 1946년 11월 1일 7천여 명 이상의 민중이 참여하는 대규모 민중봉기를 일으키게 된다. 이 봉기는 미군과 경찰과 비행기까지 동원한 진압으로 16명이 사망하였고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민중봉기는 11월 봉기 이후 계속되었다. 그러나 군정과 경찰은 적극적으로 우익을 육성하였고, 특히 1950년부터 시작된 토지개혁 이후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우파 중심의 사회로 재편되었다.